본문 바로가기
GPT활용연구소

chatGPT 실전 팁 수기 : 프롬프트 작성 팀 & 숙지할 개념

by metal-11 2025. 4. 9.

이전 편에 이어서 ...

이전 편을 보면 알겠지만, 결국 해당 기능을 잘 쓸려면 텍스트로 지시문을 작성해야합니다.

그럼 어떻게 작성해야하는가?

 

아래는 실제 프롬프트 작성 관련해서 개인적으로 취합한 정보들을 요약한 지침입니다.

꼭 정답도 아니고, 항상 좋은 답이 나오는 것은 아니니 만큼 해당 개념이 있다는 걸 참고하는 선에서 봐주시기 바랍니다.


3. 좋은 질문 좋은 답변 : 프롬프트 잘 작성하는 법

3-1. 크게 6가지 요소를 고려해두기 바랍니다.

- 명령(필수) : 한번에 하나씩, 서술어로 ~해줘

- 맥락(권장) : 현재 어떤 상황, 목표, 조건, 제한 상황을 제시할 수록 좋습니다.

- 페르소나(권장) :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전문가(e.g. 재무 관련 질문이라면 '회계사 입장에서 답변해줘' 같은 답변이 적절합니다)

- 예시(권장) : 무료에선 텍스트로 예시를 줘야하지만, 유료에선 웹링크나 파일로 예시를 줄 수 있어요.

- 포맷(있으면 좋음) : 마크다운, csv, 표 형식(뭔가를 비교할때) 과 같은 것을 제시하면 더 가독성있고 목표한 산출물을 가공할 필요가 없어집니다. 이때 사실 근거 없이 나온 추론이라 검증이 필요한 부분은 (검증 필요) 같은 문구를 붙이도록 하길 바랍니다. 이를 Fast-check 패턴이라 부릅니다.

- 어조(있으면 좋음) : GPT 답변이 너무 길어지면 가독성, 생산성이 떨어져서 산문 보다는 '개조식', '짧게' 표현 해달라는 프롬프트를 추가합니다.

그림 출처 : https://www.aiground.co.kr/6-key-components-for-effective-prompts/

 

구체적인 프롬프트를 구성하기 위한 6가지 구성요소(ChatGPT 기초 가이드)

생성형 AI는 글, 이미지, 음성 등 다양한 콘텐츠를 만들어내는 기술입니다. 특히 ChatGPT는 사용자의 텍스트 프롬프트를 이해하고 적절한 답변을 제공하는 대화형 AI 모델인데요. 효과적인 프롬프

www.aiground.co.kr

- 보다 디테일한 프롬프트 작성법을 배우고 싶다면, 인사혁신처에서 발간한 인공지능 활용 가이드 를 다운 받아 보세요.

3-2. 그외 감안할 사항

- 프롬프트는 구조화해서 작성 : 기본적으로 chatGPT는 구조화된 텍스트를 잘 다룹니다. 질문을 할 때 개조식으로, 하위 질문은 별도의 글머리 기호를 쓰는 방식을 권장합니다.
- 프롬프트 자동 작성 : 프롬프트 작성 자체가 귀찮고 머리 쓰는 일인 만큼 좋은 프롬프트 요건을 사전에 메모리에 입력해두고, 답변할 때 마다 선택지를 좋은 프롬프트 요건을 맞춘 형식으로 달라고 하는 방법이 있습니다.

- 일 처리 프로세스를 먼저 검색해서 확인 후 답변 : 답변 로딩시 얼핏 나오는 생각하는 과정은 곧 일을 처리하는 과정입니다. 이 과정이 전문적이지 못할 경우가 많으므로, 사전에 인터넷을 검색해서 어떤 과정을 거칠지를 큰 그림을 먼저 정리하고 그 순서대로 하라고 실행시켜 보시길 권장합니다.

- 대안 제시 및 브레인스토밍 (Alternative Approaches 패턴) : 여러 옵션을 고려하도록 명시적으로 n개의 답변을 해달라고 하고, 그 중에서 좋은 대안을 채택하는 방법이 있습니다.

 


4. 숙지해야할 사항

아래의 사항은 주기적으로 프롬프트에 포함시켜도 계속 나타나는 만큼 사용자가 숙지할 부분입니다.

4-1. 컨텍스트

- 생성형 AI는 기본적으로 컨텍스트란 이름의 기억을 갖추고 있으며 토큰 단위로 이를 측정합니다.

- 챗 하나에는 하나의 주제만 다루는 것이 좋습니다.

 

4-2. 망각 

- GPT-4의 경우 약 책 1권 분량의 기억력을 갖고 있다고 생각하셔야합니다. 이전 모델들에 비하면 기억력이 크게 향상 됐지만, 내가 원하는 것들을 세세하게 기억해주지 못한다는걸 아셔야 합니다.

- 때문에 주기적으로 기존 설정을 상기시켜주거나, 별도의 외부 DB를 장기기억의 대용으로 쓰게 하는 방안들이 제시되곤 합니다.

- 디테일한 정보들을 제거하지 말라고 해도 이를 생략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때문에 노션과 연동하는 확장 프로그램을 통해 놓치고 있는 사항을 비교대조할 수 있도록 미리 시스템을 갖추길 권장합니다.

- 주기적으로 '이제 까지 했던 대화를 정보 하나 생략하지 말고 구조화 시켜줘' 같은 프롬프트로 리마인드를 해두시기 바랍니다. 그렇지 않으면 육중해진 컨텍스트로 인해 응답이 느려질 수 있습니다.


4-3. 일관성 부족(긍정 편향)

- chatGPT는 기본적으로 친절하고 자신이 모르는 정보와 의도에 입각해 잘못되었다고 지적받을 상황이 많으니 사용자의 말이 맞는 것을 전제로 하고 그대로 답변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 이것이 일관성 부족으로 이어지는 경우가 있습니다. 동일 질문을 다르게 작성해서 반복하는식으로 다양한 관점을 보는 것도 가능합니다.

- 때문에 막연히 GPT가 말해주는 대로 따르고 좋게 여기기 보단 비판적으로 검토하는 습관을 들여두기 바랍니다. 해당 사항은 계속해서 프롬프트로 상기 시켜도 통제가 쉽게 안되는 것으로 보아, 프로세스 중에 이를 통제하는 부분이 있는 것으로 보입니다.

 

4-4. 할루시네이션

- GPT 모델이 발전할 수록 관련해서 말도 일관성을 유지하거나 하는 기능은 많이 발전했습니다.
그러나 여전히 링크 기반의 증거를 제시하라고 하면, 실제론 존재하지 않는 링크를 주는 현상이 반복되고 있습니다.

- 작업 결과물 재검토 : 검토를 사람이 하는 방법도 있지만, GPT에게 명시적으로 '객관적으로 다시 검토해'라고 하면 스스로 만든 답변에 다시 검토가 가능하므로 생산성을 위해 재검토 문구를 입력하는 것을 권장합니다.

- 모르면 물어봐 : 모호성 포장하기 위해 적당히 넘어가는 경우가 여전히 많으므로 해당 문구를 추가하길 바랍니다.

 

4-5. 사용 제한

- Plus 구독을 해도 무제한으로 딥리서치를 한다거나, GPT-4.5 모델의 답변 횟수를 무제한 사용하거나, 무제한 프롬프트를 전송하거나 할 수 없습니다.

딥리서치 버튼에 마우스를 대면 알 수 있습니다.

 

4-6. 사용시 정해야할 원칙들

- 계획만 하는 함정에서 벗어날 것! : GPT에게 물어봤다고 진척이 되는게 아닙니다. 시간을 정해놓고 그때까지만 기획하고 실행하는 루틴을 세우지 않으면, 한도 끝도 없이 카톡하듯이 GPT만 만지게 될 수 있습니다.실행하는건 사람입니다! 

 

 

5. 다른 생성 AI 사용

아래는 chatGPT 외에도 쓸 수 있는 옵션들입니다.

- ChatGPT : 범용적으로는 지원하는 기능이 많습니다. 잘 모르겠으면 이거부터 유료 결제 바랍니다. 그리고 Pro 버전의 'Operator mode'가 어떻게 움직이는지 보고 앞으로 AI의 미래와 자신의 역할이 뭔지 알아야 합니다.
https://openai.com/index/introducing-operator/ 

 

- Perplexity : 출처에 기반한 답변에 특화되어 있습니다. 가끔씩 더 이상 기능하지 않는 링크를 전달하기도 하지만, 그 빈도가 적어 크로스 체크에 유용합니다.

- Claude : 창작, 논리적 사고, 톤유지 등에 강점을 가진다고 합니다. 그러나 최근에는 다른 AI의 성능도 좋아져서 차별점이 다소 줄어들었습니다.

- Notion AI : GPT, Claude 의 모델을 10달러에 쓸 수 있으며, 노션 DB를 읽어들이고 그에 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으며, 최근 성능이 많이 발전했습니다. 개인적으론 장기기억을 DB 형태로 백업할 수 있다는 점이 매력적입니다.

- Grok : 검열이 상대적으로는 약합니다. 창의적인 대답이 필요할 때 권장합니다.

- Gemini : 구글 서비스 그중에서도 캘린더 연동 용이합니다(스마트폰 기준). 1달 무료 체험을 할때 딸려오는 무료 클라우드 공간 서비스가 좋으니 추후 대용량 데이터 다룰 때 용이합니다.

- DeepSeek 로컬 버전 : 오픈소스로 GPT-4에 준하는 성능을 내면서, 저렴하게 구글 colab에서 GPU를 빌려 나만을 위한 GPT를 만들고 싶다면 가장 베스트입니다. 왜냐면 chatGPT API는 정액제가 아닌 사용량에 따라 비용이 부과되기 때문에 비용통제가 어려울 수 있기 때문입니다.

 

 

근데 너무 길어서 어렵다고요?
실전으로 당장 필요한 감각을 체득시켜주기 위한 프롬프트를 마련했습니다.

다음 편에 있는 프롬프트를 복붙만 해도
어떻게 좋은 프롬프트를 만들 수 있는지 나름 연구한 사항을 학습할 수 있도록 구성했습니다.

 

다음편으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