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전체 글74

17년 4월 5일 대학생 빅데이터 아이디어 발표대회를 보고 느낀점 이를 토대로 추후 빅데이터 관련 부문의 대회에서 입상을 위한 가이드 라인을 삼을 필요가 있음.응모한 팀은 199팀. 1차 통과후 2차에서 발표한 인원은 11팀. 최종 시상자는 6명. 이전에 1백여명정도 하던 대회 사례를 볼 때 생각외로 많은 수가 접수됨.심사위원은 월간 지방자치(잡지사로 보임), 한국신용정보원, ETRI, 건강보험심사원 연구원, 행자부 데이터 분석과에서 한명씩.발표는 1인당 6분씩. PPT는 7페이지 정도로 정해짐.의외로 구글 검색 1페이지에 나온 내용과 별 다를 바 없는 걸 발표했는데도(디테일은 다를 것으로 추측하지만) 당선된 것으로 보아 담당자들만 모르면 참신성에 대한 문제는 없을 것으로 보임.그다지 빅데이터 스케일의 문제가 아닌 것으로 보이는 것도 당선된 것으로 보아 공무원의 귀찮음.. 2017. 4. 9.
1과목 데이터 이해 1장 데이터 이해 ※ ADsP 정리글은 어디까지나 한국데이터진흥원에서 발행한 데이터분석 전문가 가이드를 읽어야 그 맥락이 이해되는 물건입니다. 그러니 꼭 사서 정리을 보길 추천합니다. 1과목 데이터의 이해1장 데이터의 이해제1절 데이터와 정보.1. 데이터의 정의- 데이터 : 추론과 추정의 근거를 이루는 사실. 정성(언어, 문자 등), 정량(수치, 기호, 도형)- 암묵지 : 학습과 체험을 통해 개인에게 습득된 무형의 지식. 과학적 발견은 여기에 기초함.- 형식지 : 형상화되어 전달공유가 용이암묵지형식지공통화(Socialization)표출화(Externalization)내면화(Internalization)연결화(Combination) 내면화된 지식 >> 표출화 >> 공통화 >> 연결화 >>내면화 와 같은 순환을 거친다.2. .. 2017. 4. 9.